로버트 A. 존슨 지음/고혜경 옮김/동영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남성과 여성이라는 생물학적 성으로 구분된다. 성장하면서 심리적으로 다른 관심과 특성을 보이고 사회적으로도 다른 역할을 수행하도록 요구된다. 사회나 시대가 원하는 남성과 여성으로서 외적 인격, 즉 페르소나에 충실해진다. 그와 같이 사회적 요구에 맞추어 가는 가운데, 개인의 무의식에는 남성과 여성의 페르소나에 대응하는 또 하나의 내적 인격이 성립된다. 사람은 외부 세계뿐만 아니라 내면 세계에서도 적응하면 살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남성의 무의식에는 여성적 인격이, 여성의 무의식에는 남성적 인격이 내부 인격으로 자리잡게 된다. 이는 여성 인격은 분위기와 관계 능력을 나타내고, 애니멀로 남성 인격은 이유와 판단 능력을 뜻하는 애니무스라는 원형으로 회자된다. 남성의 경우 애니마가 내면의 중재자로 활동하며 남성의 진화를 돕고, 여성의 경우 애니무스가 의식적 자아와 무의식의 내면 세계 사이에서 중재자로 활동하여 여성의 진화를 돕는다. 여성성이 진화하려면 무의식의 남성적 요소에 대해 복종적이었던 태도를 버려야 한다. 무의식의 남성적 요소는 때로는 여성이 외부 세계와 맺는 관계를 부정적으로 통제하지만, 아니무스가 팽창하면 여성의 자아는 건전한 판단을 할 수 없다. 부정적인 애니무스에 사로잡힌 상태는 은밀하지만 팽창 상태에 놓이게 돼 정신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중년기에 이르러 이러한 내적 인격의 통합이 중요한 주제가 되며, 여성성과 남성성의 통합을 이루는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개성화 과정이라고 한다. 개성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화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저자는 인간 행동과 심리 패턴을 공부할 때 인류 초기로 돌아가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신화에 나타나는 의식과 무의식의 내용을 동시에 표출하는 원형적인 이야기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 시공을 넘어 인류의 정신 활동을 보여준다. 신화는 심리학적 통찰을 위한 풍부한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신화에 등장하는 원형은 바로 우리 내면에 있는 신들이다. 사람에게서 어떤 신적인 모습을 본다는 것은 그 사람이 가진 장엄함과 초인간적인 차원을 본다는 뜻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신화는 엘로스와 프시케의 이야기다. 엘로스와 프시케는 결혼한다. 그러나 프시케는 엘로스의 실체를 볼 수 없다. 프시케 누나들은 프시케에게 엘로스의 실제 모습을 보기 위해 칼과 초롱을 준비하라고 말한다. 칼과 초롱은 여성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두 가지 상징물이다. 칼은 이성, 식별, 단호한 결단력을 의미하고 등불은 부드러운 의견으로 어둠을 비추는 것과 고요의 중심성을 의미한다. 여성들은 대화 분위기를 좋게 만들기 위해 또는 마음을 모으기 위해 기도할 때 촛불 켜는 것을 좋아한다. 남자는 빛과 칼 모두에 약하다. 여성은 초롱을 사용하되 칼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단절되거나 냉소적인 칼은 내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결혼 생활 중 어려움이 있을 때 등불을 먼저 비춰봐야 하고, 그 다음 칼을 사용해야 할지 선택할 수 있다. 여성이 심리적으로 미숙하거나 건강하지 않을 때 날카로운 칼을 휘두르거나 뜨거운 불에 상대방의 몸을 데일 수 있다. 그렇다면 초롱이란 무엇이고 또 무엇을 비추는가. 여성은 자신의 의식 등불로 남성의 가치를 나타내는 능력이 있다. 이런 능력을 잘 적용하면 남성은 자신이 누구인지 깨달을 수 있다. 또한 남성은 자신의 내면 어딘가에 자신은 신이며 장엄한 존재라는 사실도 알게 된다. 여성이 불을 켜고 그 남성 내면에 살아있는 신의 이미지를 보여줄 때 남성은 자신 안에 있는 신적인 부분을 살려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럴 때 남성의 의식이 확장된다.이는 아내와 남편의 관계성을 이야기하는 것이기도 하고, 여성과 외적 인격과 내적 인격의 관계성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로버트·A·존슨 지음/고·혜경 옮김, 동용 인간은 태어나서 남성과 여성이라는 생물학적 성에 구분된다. 성장하면서 심리적으로 다른 관심과 특성을 제시하고 사회적으로도 다른 역할을 수행하도록 요구된다. 사회나 시대가 원하는 남성과 여성으로서 외적 인격, 즉 페르소나에 충실하게 된다. 그렇게 사회적 요구에 맞추는 가운데 개인의 무의식에는 남성과 여성의 페르소나에 대응하는 또 하나의 내적 인격이 성립된다. 사람은 외부 세계 뿐만이 아니라 내면 세계에서도 적응하면 살게 되고 있기 때문이다. 남성의 무의식에는 여성적 인격이 여성의 무의식에는 남성적 인격이 내부 인격체로 정착하게 된다. 이는 여성 인격은 분위기와 관계 능력을 표하며 아니마로 남성 인격은 이유와 판단 능력을 의미하는 아니무스이라는 원형으로 말했다. 남성의 경우 아니마가 내면의 중재자로 활동하며 남성의 진화를 돕고 여성의 경우 애니 무스가 의식적 자아와 무의식의 내면 세계와 사이에서 중재자로 활동하고 여성의 진화를 돕는다. 여성성이 진화하기 위해서는 무의식의 남성적 요소에 대해서 복종적인 태도를 버려야 한다. 무의식의 남성적인 요소는 때에는 여성이 외부 세계와 맺고 관계를 부정적으로 통제하지만 아니무스가 팽창하면 여성의 자아는 건전한 판단이 어렵다. 부정적인 아니무스에 붙잡힌 상태는 은밀하지만 팽창 상태에 놓이게 되고 정신의 불균형을 원인을 낳는 것도 있다. 중년기에 들면서 이런 내적 인격의 통합이 중요한 주제가 되는 여성 성과 남성성의 통합을 이루는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개성화 과정. 개성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화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저자는 인간 행동과 심리 패턴을 공부할 때, 인류 초기에 돌아갈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신화에 나타나는 의식과 무의식의 내용을 동시에 표출되는 원형적인 얘기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 시공을 넘어 인류의 정신 활동을 보인다. 신화는 심리학적 통찰을 위한 풍부한 원천이다. 신화에 등장하는 원형은 바로 우리의 내면의 신들이다. 사람으로부터 어떤 신적인 모습을 본다는 것은 그 사람이 지닌 장엄함과 초인간적인 차원을 본다는 뜻이다. 본서에 등장하는 신화는 에로스와 영혼의 이야기이다. 에로스와 영혼은 결혼한다. 그러나 영혼은 에로스의 실체를 볼 수 없다. 영혼의 누나들은 영혼에 에로스의 실제 모습을 보기 위해서 나이프와 연등을 준비하도록 한다. 칼과 청사 초롱은 여성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2개의 상징이다. 칼은 이성, 식별, 단호한 결단력을 의미하며 등불은 부드러운 의견에서 어둠을 비추는 것과 고요의 중심성을 의미한다. 여성들은 대화 분위기를 좋기 위해서, 또는 마음을 끌기 위해서 기도할 때 촛불을 밝힌 것을 좋아한다. 남성은 빛과 칼의 양쪽에 약하다. 여자는 연등을 쓰지만 칼을 써서는 안 된다. 단절하거나 냉소적인 칼은 내적으로 써야 한다. 결혼 생활 중에 어려움이 있을 때 불을 먼저 대비해야 하며, 그 다음에 칼을 사용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여성이 심리적으로 미숙하거나 불건전한 때에 날카로운 칼을 휘두르고 뜨거운 불에서 상대의 몸을 불에 탈 수 있다. 그럼 연등은 무엇이고, 또 무엇을 비추는가. 여자는 자기 의식의 불빛으로 남성의 가치를 나타내는 능력이 있다. 이런 능력을 잘 적용하면 남성은 자신이 누구인지를 깨달을 수 있다. 또 남성은 자신의 내면 어딘가에 나는 신조차 장엄한 존재 사실도 알게 된다. 여성이 불을 달고 그 남자의 내면에 살아 있는 신들의 이미지를 보일 때 남성은 자신 속에 있는 신적인 부분을 살려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런 때 남자의 의식이 확장된다.이는 아내와 남편의 관계성을 말하는 것이므로 여성과 외적 인격과 내적 인격의 관계성의 이야기도 있다.